소화계
1. 소화
음식물속의 크기가 큰 영양소를 크기가 작은 영앙소(세포에 흡수되는 크기 = 세포막을 통과하는 크기)로 분해하는 과정으로 소화효소가 있어야한다
예) 녹말과 같이 크기가 큰 영양소를 소화효소(아밀레이스)에 의해 포도당과 같이 크기가 작은 영양소로 분해하여 세포로 흡수 한다.
🙂 3대 영양소 소화과정

2. 소화계

음식물을 섭취ㆍ분해ㆍ흡수하여 영양분을 혈액 속에 보내는 기관을 통틀어 이르는 말로 입ㆍ인두ㆍ식도ㆍ위ㆍ작은창자ㆍ큰창자ㆍ항문, 침샘ㆍ간ㆍ이자 등으로 이루어진다
(1) 입에서의 소화
ㆍ침속의 소화효소인 아밀레이스가 녹말을
엿당으로 분해(소화)
ㆍ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침과 골고루 섞는
작용(소화를 도우는 작용)
(2) 위에서의 소화

ㆍ위액속의 소화효소인 펩신이 단백질을 분해
(소화)
ㆍ위속의 염산은 단백질을 녹여 단백질소화를
도우고 음식물속의 세균을 제거(살균작용)
하는 작용도 한다
(3) 소장에서의 소화

탄수화물을 포도당으로, 지방을 지방산과 모노글리세리드로, 단백질을 아미노산으로 최종 분해(소화)한다
ㆍ위를 통과한 영양소는 십이지장에서 쓸개즙,
이자액과 섞여 소장으로 간다
ㆍ 쓸개즙은 간에서 생성, 쓸개에 보관되며
지방의 소화를 돕는다
ㆍ이자액은 녹말을 포도당으로 소화하는
아밀레이스, 단백질을 소화시키는 트립신,
지방을 지방산과 모노글리세이드로 소화
한다
ㆍ쓸개즙, 이자액의 효소가 소화작용을 하고
별도로 소장에서는 탄수화물, 단백질효소가
있어 모든 양분의 소화가 완성된다

(4) 영양소의 흡수
최종 소화가 이루어지는 곳도 양분이 흡수되는 곳도 소장이다
소장은 주름이 져 있는데 이는 표면적을 넓혀 양분의 흡수를 많게 하고자하는 것이다.
이 주름 표면에 나 있는 돌기들이 융털이다
양분들은 이 융털을 통해 흡수가 이루어진다

🙂융털은 모세혈관과 암죽관으로 되어 있다
ㆍ모세혈과: 수용성영양소가 흡수
예)포도당, 아미노산, 무기염류
ㆍ암죽관: 지용성영양소가 흡수
예)지방산, 모노글리세리드